COMMUNITY

한국과 아시아 국가의 학교건축 및 교육시설 전반의 발전에 기여합니다.

NEWS

e-mail 질의 응답 공개 : 2023 지방교육재정연구원·(사)학교건축창의융합포럼 공동 국제포럼
관리자| 2023-12-22| 조회수 : 110

* 포럼의 허가 없이 본 발표자의 답변 내용을 인용, 발표 또는 배포할 수 없음. *

 

 

 

▪ 발표1 : 일본 학교내 수영장 공간 특징과 아동돌봄 복합공간 특징

스나다 테츠마사(일본)

니켄세케이 설계부 총괄 디렉터

 

▪ Presentation 1: Characteristics of pool space in Japanese schools and use of complex space for child care

SUNADA Tetsumasa (Japan),

Design Director, NIKKEN SEKKEI Global Desgin Group

 

 

Q1. 세종시의 우수한 학교를 투어하셨는데 외국인, 특히 일본 건축가로서 느낀 한국 학교 건축의 우수성과 차별성을 솔직하게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탄한 점

1) 지역에 대하여 개방적 공간

해밀 캠퍼스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그랬지만 학교 부지 내와 주변이 비교적 개방적으로 연결돼 있다는 것. 일본에서는 많은 학교가 부지를 펜스로 둘러싸고 출입구는 정문에만 한정하고 있는 학교가 많습니다. 그렇지 않은 학교도 있지만 초등학교에서는 수상한 사람의 침입으로 학생에게 위해를 가하는 사건, 중고교에서는 야간에 장난으로 침입자가 침입하는 등을 방지하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저는 지역과 학교가 더 나은 연결고리를 갖기 위해 개방하는 것에 찬성했고 쇼와학원에서도 오픈스페이스를 만들었는데 해밀캠퍼스는 마을 한가운데에 캠퍼스 중앙이 넓게 시민들에게 개방되어 있던 구상에 공감했습니다. 교장실이 개방된 학교도 학교의 사상을 나타내고 있어서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2) 기능적 플래닝

반곡, 장영실, 세종이음 등, 중복도형, ㅁ자형 등을 클러스터로 묶어 연결한 계획으로 교실 간 이동은 쉽고 면적 효율도 좋은 플랜으로 느꼈습니다. 이것은 건설 비용을 배려하는 것이나 에너지 절약으로도 이어질 계획입니다. 한편, 방향성을 알 수 없게 되어, 자신이 학교 건물의 어느 위치에 있고, 어느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습니다. 매일 이용하는 학생들에게는 문제가 없을 수도 있지만 공간 인지하기 어렵다고 느꼈습니다.

 

3) 학생들이 편안하게 느낄 수 있는 공간이 곳곳에 디자인되어 있다.

해밀초등학교 교실 뒤의 DEN, 도서실 소파나 귀여운 가구, 학부모들이 와서 쉴 수 있는 카페나 매점 등 곳곳에 아이들이 즐겁게 지낼 수 있는 장소가 제대로 디자인되어 있는 것은 일본 학교에도 도입하고 싶다고 생각했습니다.

 

4) 숲 유치원의 자연을 접하는 교육환경

통상적인 생각은 북쪽에 학교 건물을 붙여 남쪽에 창문이나 정원을 배치하는 것입니다만, 멋지게 북쪽의 산쪽에 학교를 붙여, 자연과의 거리를 가깝게 하고 있는 것이 좋았습니다. 바깥 복도는 덥고 추운 것의 불편함은 있지만 굳이 자연의 기후를 느끼며 지낼 수 있다는 것도 좋았습니다.

이러한 것은 선생님이 조금 사용하기 어려운 면은 있겠지만, 아이들의 경험에 있어서 좋은 일이라고 느꼈습니다. 특히 산속 수업 등 도시의 아이들에게는 경험할 수 없는 귀중한 어린 시절을 보낸다고 느꼈습니다.

 

5) 일본의 통상적인 학교 건물과의 차이

거의 모든 학교에 식당이 있었다. 일본에서는 초등학교는 급식으로 교실에서 식사. 중고교는 식당이 없고 도시락이나 매점만 있는 학교도 많습니다. 이것은 부모님 입장에서는 부담이 줄어들고 또한 좋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고 느꼈습니다. 또한, 계단식 강당(시청각실)이 어느 학교에나 있었습니다. 2~3교실을 수용할 수 있는 강당은 사용하기 편리할 것 같습니다. 일본에서는 2교실 분량의 대교실 등이 많습니다만, 이 의자와 작은 테이블식이 강의를 듣기에 매우 적합합니다. 교실 정면에 전자칠판이 표준 장비되어 있는 점. 일본에서는 모니터는 비품 취급으로, 기본은 칠판 중심으로 사이드에 모니터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 외, 방범 카메라가 매우 많다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차별성을 느낀 점

오픈형 교실을 볼 수 없었다.

일본에서는 특히 초등학교에서 오픈형 교실을 채용하고 있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한국의 최신 학교를 견학했는데, 어디나 교실과 복도 또는 교실이 창호로 닫힌 타입이었습니다. 일본에서도 도입 당시에는 학생들의 산만함, 선생님이 주위에서 보는 것이 꺼려지는 등의 과제가 있었지만, 지금은 문부과학성도 권장하고 있습니다.

주요 장점으로 교실 부분과 병용하여 사용함으로써 학습과제에 대응한 수업을 할 수 있음 다목적 공간에 학습재를 마련해둠으로써 아동의 활용 기회가 증가 급식 배식 준비에 사용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 아동이 휴식시간 등 교실에서 밖으로 활동을 넓히기 쉽기 때문에 학급을 넘어선 커뮤니케이션을 활발하게 할 수 있음 등이 있습니다. 나가사와 선생님과도 교류가 있다고 들어서 한국에서도 앞으로 서서히 도입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교실의 방향(방위)에 그다지 구애받지 않는다.

일본과의 차이가 될지도 모르지만 도심형 좁은 부지의 학교를 제외하고 많은 학교의 클래스 룸은 남쪽 혹은 동쪽 채광이 원칙적으로 되어 있습니다. 확실히 냉난방 설비가 완비되고 조명 설비도 있기 때문에 방위를 신경 쓰는 것은 무의미해지고 있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건축가나 학교 선생님도 신경이 쓰이는 사항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역시 햇빛을 받는다거나 창문이 밝다는 것은 아이의 육성 환경에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도서가 적다.

이것은 예산 관계라고 들었습니다만, 신설 학교였기 때문에 앞으로 서서히 증가할 것이라고는 생각했습니다. 일본의 학교는 교실에도 책이 있고, 초등학교 도서실은 책으로 넘쳐납니다.그리고 도서실을 오픈해 온 학교도 많아 좀 더 책이나 교재(특별교실 물품)를 접할 수 있는 환경이 학교에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Q2. 일본에서는 학교가 주민과 시설이나 공간을 공유하는 경우에 어느 정도까지, 그리고 어떤 종류의 시설 등이 공유됩니까?

 

대부분의 경우 체육관과 운동장을 지역에 개방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은 무료이지만 일부 시설 사용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비용은 1000엔 안팎이고, 사전 신청이 필요하며 단체가 사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10인이상 등으로 개인이용 불가)

이용시간은 6:00~21:00 등의 경우가 많습니다. 그 외 개방시설로 강당, 교실, 수영장을 개방하고 있는 사례도 있습니다. 수영장은 개인 이용 가능합니다.

문부과학성에서 학교 시설 개방시의 유의점으로서 이하를 들 수 있습니다.

 

7-1 학교시설 개방 시 유의점

(1)학교시설을 지역주민 등에게 개방할 때 비개방 부분에 외부인이 들어가지 않도록 시설면에서의 조치를 강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2)필요에 따라 개방부분과 비개방부분의 경계에 서로 전망이 좋은 파이프셔터나 문을 설치하고 잠금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3)관리자를 두지 않는 경우의 학교시설 개방 시에는 사용단체 등에 자물쇠 수령방법이나 보관방법 등에 대해 검토하고, 만일 분실 등이 있었을 경우의 대응방법을 명확히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Q3. 한국에서는 내년에 학교 내에 수영장을 300곳으로 만든다고 합니다. 소개해주신 방법 중에서 어떤 방법을 가장 추천하시나요?

 

매우 어려운 질문이지만 개인적으로는

개폐식 지붕을 병설한 냉수풀로 여러 학교에서 공용

일부 도심지역 등 지역주민이나 일하고 있는 젊은이가 많고 시민 요구도 높은 장소는 실내 온수 수영장으로 여러 학교에서 공유를 추천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영장의 수온은 22이상이 기준이지만, 유영에 적합한 수온은 26~31입니다. 기온은 수온보다 높고 바람이 없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기온 28도 이상이 수영에 적합한 기온을 기준으로 할 때 한국은 일본 온난지역보다 기간이 약간 짧아 수영수업 기간이 짧아 운용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일본의 한랭지, 고지, 동해(일본에서는 일본해) 측 등에서 최근 채용이 증가하고 있는 가동식 지붕을 추천합니다.

일본의 수영수업은 일반적으로 야외 냉수수영장의 경우

간토에서 서쪽, 온난 지역 : 6월 중순 ~ 9월 중순 (3개월)

도호쿠지방과 고지는 : 7월 상순 ~ 9월 중순 (2.5개월)

가동식 지붕에 따라 수영 수업이 가능한 기간 : 5월 상순 ~ 10월 하순 (5.5개월)

그렇기 때문에, 복수의 학교 이용, 날씨에 의한 수업 운용에의 유연성을 생각하면, 가동식 지붕은 러닝 코스트가 싸고 운용 기간이 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도쿄 등 도심부 초등학교에서는 학교 수영장을 온수 수영장으로 시민 개방하고 있는 시설이 많아졌습니다.

이유는

더운 날씨가 증가해 열사병 대책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부지 확보나 옥외는 주변에서의 도촬 피해 대책이 어렵다.

날씨에 좌우되어 수업 예정이 변경되기 쉽다.

이에 따라, 실내 온수화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러닝 코스트 대책을 위해 지역 주민에게 개방하여 지역 사회 스포츠 증진에 도움을 준다는 방침입니다. 다만 이러한 움직임은 일본 내에서도 도쿄도 내 23개 구에 집중되어 있으며 미나토구에서는 구내 7개 공립 초중학교 수영장이 실내에서 온수 수영장으로 되어 있습니다.

 

 

Q4. 옥상에 지붕이 있는 수영장의 경우 바닥이 올라가서 인조잔디 경기장으로 변경할 수 있는 수영장의 경우 공사비는 어느 정도인가요?

 

가동식이므로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특히 가동식 바닥 시스템은 유지보수가 중요하기 때문에 한국에서 대응할 수 있는 회사의 유무를 확인해야 할 것 같습니다.

가동식 바닥은 겨울철 실내 운동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수영 수업 중심이라면 바닥은 수심이 다른 2단 수영장이나 물 바닥에 가라앉혀 수심을 조절하는 전용 받침대도 있으므로 운용 측면도 고려하여 검토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진/도면 업로드 제외

 

 

 

 

 

▪ 발표2 : 학교건축의 연령별 학습환경 다양성과 엑티비티에 의한 공간 디자인 형성

이와사키 카츠야(일본)

도카이대학 건축도시학부 학장, 건축학과 교수

 

▪ Presentation 2: Formation of Spatial Design through Diversity in Grade-specific Learning Environments and Activities in Japanese School Architecture

IWASAKI Katsuya (Japan)

Dean, School of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 Professor, Dept of Architecture, Tokai University

 

 

Q1. 세종시의 우수한 학교를 투어하셨는데 외국인, 특히 일본 건축가로서 느낀 한국 학교 건축의 우수성과 차별성을 솔직하게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국도 일본도 건축적인 큰 차이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한가지 말씀드린다면 일본의 학교는 교실과 복도의 관계에 대해서입니다. 한국의 복도와 교실 사이의 창문과 문의 창문이 눈높이 수준으로 통과하는 정도에서 그다지 개방적이지 않았습니다. 한편 일본은 발밑까지 유리라든가 투과성이 높은 개구부의 범위를 넓게 취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지켜보기에 용이함, 여러 학령의 아이들이 다른 학년의 활동이 잘 보이게 하는 의도에서 투명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Q2. 일본에 폐교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신설 학교가 노인 주거 시설이나 노인 보호시설 등과 복합화한 사례가 있습니까? 있으면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학교와 관련시킨 사례는 잘 모르겠습니다. 조금 가까운 사례로는 제가 예전에 니켄세케이에서 담당했던 호쿠토시 다카네초 복지마을 프로젝트에서는 어린이집과 양로원이 마주보고 계획한 사례가 한 건 있습니다.

 

 

Q3. 시로카네노오카학원은 매우 훌륭한 학교여서 감동했습니다. 이 학교가 일관교라고 하는데, 일본에는 일관교와 의무교육학교라는 것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두 학교의 차이점을 알 수 있을까요?

 

의무교육학교와 초··일관학교의 큰 차이점은 초·중학교 사이에 구분이 '있다''없다'냐입니다. 의무교육학교에서는 초·중학교 구분이 없기 때문에 초··일관학교에서 취하고 있는 6-3 제도에 얽매일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유연하게 학년제를 변경할 수 있으며, 앞을 내다보는 학습 계획이 가능합니다. 이쪽은 2016 년부터 제도화된 것 같습니다. 제가 시로카네노오카 학원을 설계한 후에도 정의가 되어 있고, 제 자신도 자세한 내용은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Q4. 한국의 교사나 건축가가 '다양한 용도의 다양한 주민이용시설과 복합화된 일본의 학교건축'을 방문하고자 한다면 교수님이 설계한 시로카네노오카 학원학교를 포함하여 꼭 추천하고 싶은 학교를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나가레야마 오오타카노모리 초중 일관교 (일본건축학회상)

 

 

Q. 교수님이 액티비티 디자인 연구에서 이과, 문과 학생의 동선을 학년별로 분류하여 특성을 파악한 부분이 인상 깊었습니다. 학생들의 움직임이 시간대별로 세로, 가로로 많아진다는 내용이 향후 설계에 어떻게 적용되었나요? 그리고 왜 시간대별 움직임을 분석 요소로 정했는지 궁금합니다.

 

캠퍼스 내에 또 다른 남북을 연결하는 통로가 인류 계획에서는 좁고, 실제로 사람의 체류가 일어나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실제로 어떤 통로폭이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해 몇 가지의 통로폭을 컴퓨터에 의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적절한 폭을 도출했습니다. 이 결과를 앞으로 진행될 캠퍼스 마스터 플랜에 연계할 예정입니다. 시간대에 따라 학과 특유의 움직임이 있기 때문에 그것을 실제로 가시화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등하교는 남북으로 사람의 움직임, 수업 간의 이동은 동서 사람의 움직임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건물 배치와 수업 커리큘럼에서 이런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Q6. 인구 유동 시뮬레이션을 통해 계단이 만들어질 경우 예상 동선을 예측하고 이를 조치대학 소피아타워에 반영한 것에 대해 시뮬레이션 분석으로 얻은 사람들의 유동 데이터를 설계의 어느 부분에 적용했습니까? (예를 들면 의자, 책상위치, 도서관위치, 휴지통위치 등)

 

교실의 출입구의 넓은 치수와 브릿지, 복도 폭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Q7. 시로카네노오카 학원에서 특수한 구조체계를 이용해 운동장을 3 층에 띄우고 아래층을 아레나로 활용한 사례가 인상 깊었습니다. 포럼 질의에서 나온 것처럼 한국의 학교 설계는 보통 교육청에서 발주하여 자재비, 설계비 등을 지침으로 내리고 그 비용은 그리 넉넉한 편이 되지 않습니다. 일본의 경우 학교 건축 발주 시스템이 한국과 다른지, 시로카네노오카 학원의 경우가 특별한 경우였는지 궁금합니다.

 

건설 발주 타이밍이 좋았던 점과(물가 상승 전) 미나토구는 교육시설에 예산을 많이 확보하고 있는 점. 그래서 이번과 같은 계획이 생긴 것 같습니다. 미나토구는 일본 국내의 일반적인 다른 공립학교보다 스펙이 높고 예산도 있습니다.

 

 

 

 

 

▪ 발표3 : 교건축과 웰빙 - 사례로 본 핀란드의 학습 환경

라이너 마흘라마키 (핀란드)

라델마 & 마흘라마키 아키텍츠 대표 / 오울루 대학교 건축학과 명예교수, ()학장

 

▪ Presentation 3: Architecture and wellness as a case Learning environment in Finland

Rainer Mahlamäki (Finland)

Partner & Co-founder, Lahdelma & Mahlamäki architects / Professor Emeritus and Former Dean, University of Oulu

 

 

우선, 매우 충실한 답변을 드리지 못한 점에 대해 사과드립니다. 왜냐하면, 질문이 광범위하여 세미나 수준의 프레젠테이션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질문에 대한 짧은 답은 없지만, 제 답변을 통해 곧 있을 핀란드 학교 투어에서 어떤 강연을 듣고 싶은지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Q1. 세종시의 좋은 학교를 둘러보셨는데, 외국인으로서, 특히 핀란드 건축가로서 한국 학교 건축의 우수성과 차별성에 대한 생각을 공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우리가 방문한 학교들은 커리큘럼을 포함해 핀란드의 학교 시스템과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핀란드는 초등학교 건축에서 이른바 오픈 스페이스 모델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이 모델은 고립된 교실 대신 학교 건물의 적절한 개방된 공간에 학생들을 배치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개방된 환경에서 다른 학급의 학생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 개방적인 '교실 없는' 공간은 좁은 복도가 필요 없기 때문에 밝고 친근한 공간으로 인식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초기 경험에 따르면 이 솔루션이 결국 최선의 해결책이 아닐 수 있으며, 교육 상황이 불안정해지고 때로는 시끄러워지며 서로 다른 교육 그룹이 서로를 방해하는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우리는 아마도 여러분의 학교와 비슷한 배치인 더 고립된 교실로 돌아갈 것입니다.

저는 한 가지 매우 비판적인 관찰을 했습니다. 제 생각에는 인테리어의 구조가 너무 표준화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모든 학교의 천장은 물론 바닥과 창문까지 모두 똑같았습니다. 건축 솔루션에 더 많은 다양성이 있어야 합니다. 복도가 어둡고 길고 교실이 너무 고립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학교 건축 측면에서 양국의 공통점은 둘 다 계속 발전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저는 유치원과 그 운영 방식에 매료되었습니다. 아이들이 농장을 가지고 있고, 닭도 보고, 아이들에게 자연 여행을 제공한다는 아이디어가 마음에 들었습니다. 이 점에 있어서는 우리보다 앞서 계십니다. 우리는 아이들이 바위나 숲이 우거진 산책로에서 다칠까 봐, 또는 유치원 운동장에서 사라질까 봐 안전에 너무 중점을 두는 것 같습니다.

 

 

Q2. 핀란드 학교 건축이 다른 유럽 국가와 다른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유럽의 다른 학교 사례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핀란드의 건축은 특히 학교 건축의 교육적 발전과 함께 긴밀하게 발전해 왔습니다. 이는 건축가와 학교 커리큘럼을 담당하는 사람들 간의 한 세기에 걸친 협력 관계입니다. 핀란드 사회는 정치 및 기타 활동을 통해 시민 간의 평등을 위해 노력합니다. 예를 들어 핀란드의 학교 시스템은 시립학교이며 무상 급식 등을 제공합니다. 대학도 마찬가지입니다. 핀란드에는 등록금이 있는 대학이 없습니다. 핀란드의 학교 시스템은 1920년대 초부터 국가와 지방 자치 단체가 시작한 개발 노력의 결과입니다. 이 시기에는 보건 서비스와 도서관 시스템도 탄생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의 이면에는 거주 지역이나 사회적 지위에 관계없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저렴하게 제공되어야 한다는 생각도 깔려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소위 북유럽 사회 모델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Q3. 밀리푸로 캠퍼스에 창문이 거의 없다고 하셨는데, 화재나 대피, 환기 측면에서 안전한지, 핀란드에서는 합법적인지 궁금합니다.

 

죄송합니다,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했습니다. 파사드에는 세로 줄무늬가 있습니다. 흰색 부분은 폭이 약 60cm이고, 어두운 줄무늬는 창문입니다. 따라서 파사드는 내부의 경량 파티션 벽을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1.2m 모듈에 따라 조절됩니다. "창문이 없다"는 의미는 파사드가 건축학적으로 창문이 없는 것처럼 보이며, 일부 영구 공간에만 창문이 있고 그 앞에는 밝은 색상의 수직 금속 홈통이 없다는 뜻입니다. 금속 홈통 덕분에 파사드 솔루션은 과도한 햇빛과 열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지만 내부에서 외부로 향하는 시야를 차단하지는 않습니다.

 

 

Q4. 핀란드 초, , 고등학교의 한 반 학생 수는 몇 명인가요? 학교를 지을 때 일반적으로 총 학생 수는 몇 명으로 짓나요?

 

초등, 중등 및 고등 학교의 평균 학급 규모는 19~20명으로 유럽 평균보다 약간 낮습니다. 대학에는 표준화된 학급 규모가 없습니다. 과목과 교육 상황에 따라 학급 규모는 5명에서 50명 사이로 다양합니다.

 

 

Q5. 핀란드에서는 학교가 주민들과 시설이나 공간을 공유하나요, 공유한다면 어느 정도까지 공유하며 어떤 시설 등을 공유하나요?

 

너무 긴 질문이라 짧게 답변하기 어렵습니다. 원칙적으로 대학만이 교육 시설 근처에 기숙사라는 주거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Q6. 핀란드에서 학교가 노인 주택이나 노인 케어 시설과 결합된 사례가 있나요? 있다면 추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확하게 답변할 수는 없지만 유치원이 학교 단지의 일부인 사례는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소개한 핀란드 오울루의 카스텔리 학교가 있습니다. 어린이를 위한 유치원, 인근 주민을 위한 의료 서비스, 교회 시설, 사회에서 고립된 청소년(마약 사용이나 범죄 전력이 있는)을 위한 교육 시설, 세탁기 사용법, 요리법 등 일상적인 기술을 배울 수 있는 시설 등이 있는 건물을 설계하기도 했습니다.

 

 

Q7. 핀란드 학교에는 보통 수영장이 있는지, 있다면 어떤 수영장이 가장 많은지, 수영장은 학교, 지자체 또는 외부의 별도 기관에서 관리하고 있나요?

 

보통은 그렇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시립 수영장에서 수영 강습을 받습니다.

 

 

Q8. 핀란드에 학교를 설립할 때 1당 설계 및 시공 비용은 얼마인가요?

 

핀란드의 지역에 따라 상당히 달라집니다. 헬싱키 지역이 건설 비용 측면에서 가장 비쌉니다. 총 평방미터당 평균 4,000유로 정도입니다. 물론 이 수치는 핀란드의 일반적인 생활 수준 지수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이 수치는 의미가 없습니다. 핀란드 근로자의 평균 월급은 약 3,800유로이며, 이 중 지방 자치 단체와 국가에 약 30%의 세금을 납부합니다. 노동 가능 연령층의 고용률은 현재 78%입니다.

 

 

Q9. 한국의 교사나 건축가가 핀란드의 학교 건축을 방문했을 때, 교수님이 설계한 학교를 포함하여 추천하고 싶은 학교를 알려주실 수 있나요?

 

핀란드 방문일정이 다가오면 다시 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